
유니티 2019.2가 릴리즈 되었습니다. 주요 변경점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정리했습니다.
아티스트 도구
- ProBuilder 4.0 : 3D 모델링 도구. 공개 런타임 API, UV 설정 윈도의 리사이즈 등의 개선
- Polybrush : 3D 모델 조각 및 페인팅 도구. 프리뷰 패키지
- DSPGraph : 새 오디오 렌더링/믹싱 시스템. 프리뷰 패키지
- Visual Effect Graph : 이펙트 제작 도구. 서브 그래프의 추가로 그래프 임베딩 및 공유 가능
- Shader Graph : 셰이더 제작 도구. Color Modes가 추가되어서 노드 하이라이트 가능
- 2D Animation tool : 교체 가능한 스프라이트 기능 추가. 파츠 커스토마이즈 등에 활용 가능
프로그래머 도구
- Burst 컴파일러 : 1.1 버전 공개. JIT 컴파일 시간과 C# 관련 개선
- TypeCache : 타입과 메소드에 빠른 접근 가능
- 모바일 스크린 밝기 조절
- iOS의 ReplayKit 지원
- 노치 디스플레이 지원
- PhysX Cloth Library 이식으로 품질과 성능 개선
- Code Editor Integrations (IDEs): 패키지로 이동해 C# API로 공개. Visual Studio Code 및 JetBrains Rider 연동은 패키지로 가능. Visual Studio는 다가올 릴리즈에 포함 예정
- .NET 3.5 스크립팅 런타임을 제거. .NET 4.x가 디폴트.
- 점진적인 가비지 콜렉션 (Incremental Garbage Collection): WebGL을 제외한 모든 플랫폼에서 지원
- 인텔의 VTune Amplifier 지원: 프로파일링 도구. 윈도우즈용 게임 및 에디터의 프로파일링 가능.
그래픽
- High-Definition 렌더 파이프라인 (HDRP) : Arbitrary Output Variables (AOV) API를 포함하여 재질의 프로퍼티만 출력하거나, 라이팅만 출력하는 것이 가능
- 동적 해상도 (Dynamic Resolution) : 드웨어 동적 해상도 기능으로 소프트웨어 동적 해상도에 비해 성능 향상
- MatCap 디버그 뷰 모드
- 새 Ambient Occlusion 효과
- Lightweight 렌더 파이프라인 (LWRP)에서의 2D 기능 : 2D 렌더러 추가
- Shader Graph : 2D 지원. precision mode 추가를 통한 GPU 메모리 사용량 감소 및 모바일 기기에서의 성능 향상.
- Lightmap denoising : GPU 제작사와 상관없이 모든 에디터 플랫폼에서 동작. Probe-Lit GI Contirubutor, GPU Lightmapper 개선, NVDIA OptiX AI Denoiser 개선, Open Image Denoise library 지원 등을 통해 성능과 품질 향상.
플랫폼 및 에디터 워크플로우
- Optimized Frame Pacing for Android : 안드로이드 기기에서의 프레임 안정화
- 개선된 OpenGL 지원: Metal을 지원하지 않는 저사양 iOS 기기를 위한 OpenGL 멀티스레딩 지원 및 SRP batcher의 OpenGL 지원
- 안드로이드 앱 번들의 사이즈 체크 : 최종 앱의 크기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해짐.
- HDRP의 VR 지원
- AR/VR용 SDK 로딩 및 관리 시스템
- AR Foundation 2.2 : 얼굴 트래킹, 2D 이미지 트래킹, 3D 오브젝트 트래킹, 환경 프로브 등을 포함
- Vuforia 지원 : Vuforia 엔진 8.3. 플레이어 설정에서 패키지 매니저로 이동.
유니티는 에디터를 가볍게하고 모듈화하기 위해서 에디터의 기능을 패키지로 옮기고 있는 추세입니다. 유니티 2019.2는 이 밖에도 다양한 개선 사항과 버그 수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.
아티스트 도구와 그래픽 관련 자세한 정보는 이 페이지를, 프로그래머 도구의 자세한 정보는 이 페이지를, 플랫폼 및 에디터 워크플로우와 관련해서는 이 페이지를 참고하세요. 유니티 공식 블로그와 릴리즈 노트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